건강

지루성 피부염의 원인 및 증상, 개선 방법

꿈꾸는 보니맘 2023. 1. 10. 21:59
반응형

지루성 피부염이란?

지루성 피부염이란 두피나 얼굴 전체에 피지의 분비가 활발하여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피부에 붉은색 종기가 올라오며, 고름이 올라옵니다. 신생아기부터 유아기에 보이는 「유아형」과, 사춘기 이후의 성인에게 보이는 「성인형」이 있습니다.

 

지루성-피부염-이미지
지루성-피부염-이미지

원인

피부에 상재하고 있는 말라세지아라는 곰팡이의 일종이 지루성 피부염의 발병에 관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피지를 영양원으로 하는 말라세지아가 피부에서 증식하는 것 자체가 피부의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말라세지아가 피지에 함유된 성분 트리글리세드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하고, 그 유리 지방산에 의한 피부의 자극도 피부염의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왜 말라세지아가 증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알 수 없지만  환경에 의한 피지 성분·분비량 등의 변화, 비타민 B2, B6 등의 대사 이상, 입욕이나 세안의 부족, 스트레스, 수면 부족 , 호르몬의 문제 등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성인형의 지루성 피부염은 사춘기 이후 남성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이는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 남성 호르몬 (안드로겐)의 영향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증상

지루성 피부염은 눈썹, 코 옆, 귀 뒤, 옆구리, 가슴, 가랑이, 무릎 뒷면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부위는 피지를 분비하는 지선이 발달한 부위로 지루 부위라고 합니다. 통증은 없으며 대부분이 가려움증이 없지만 사소한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환부의 피부가 빨갛게 되고, 황색을 띤 기름진 고름이 나옵니다. 심하게는 고름이 굳어져 딱지 같은 것으로 환부가 덮일 수도 있습니다.

 

유아형의 지루성 피부염의 대부분은 일시적인 것으로, 올바른 스킨케어를 실시한다면, 대부분 생후 8~12개월경에는 자연치료가 됩니다. 사춘기 이후에 보이는 성인형의 지루성 피부염의 경우는 일단 발병하면 호전되고 악화되기를 반복해 대부분은 만성질병으로 발전합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자연 치유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두피의 가려움이나 비듬 등의 증상은 샴푸나 린스의 잔여물로 인한 발진으로 인해서도 발생합니다만,  완화되지 않고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지루성 피부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부의 적색 등의 염증이 없고 마른 비듬만이 나오는 경우는 건성 지루라고 하는, 이른바 「비듬증」일 수 있습니다. 기타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다른 종류의 곰팡이로 인해 비슷한 피부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 몇 가지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들은 구별이 어렵고 질병에 응한 전문의 진찰과 치료가 필요하므로 비슷한 질병을 겪고 있다면 병원에 내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환부에 염증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피부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치료를 실시합니다. 증상에 따라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진균 외용제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을 완화시키는 생활습관

1. 깨끗한 피부 상태 유지

  • 우선  올바른 세안, 세발을 실시해 피지가 모이기 쉬운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피지가 쌓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세안 및 세발을 해도 좀처럼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때는 샴푸나 비누를 바꾸어 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 유분을 포함한 세안제, 샴푸, 린스 등의 사용은 가능한 한 피하고 항진균제를 함유한 샴푸, 린스, 비누로 바꾸는 것이 두피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생활 습관 개선

  • 매일 수면 부족과 과도한 스트레스는 피부 증상의 악화 요인이 됩니다. 피부 상태가 나쁘다고 느끼면 우선은 충분한 수면을 취합시다. 충분한 휴식과 취미생활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 세안·세발 시에는 손톱으로 두피를 자극하거나 피부를 거칠게 문지르지 않고 거품으로 부드럽게 씻도록 합시다.
  • 폭음, 폭식과 편향된 식생활도 피부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영양 균형 잡힌 규칙적인 식생활을 유의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