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 및 고령화, 저출산 등으로 인해 국민연금 재정이 어려워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자신의 국민연금을 못 받을까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기존 수령 나이보다 빠르게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기 수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조기 수령 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과연 조기수령이 유리한 방법인 지 같이 고민해 보겠습니다.

조기노령연금 조건
조기노령연금은 기존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보다 최대 5년 빠르게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아래 조건만 충족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함
-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말 것
중요한 부분은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해서 지급받다가 노령연금 지급개시 연령 전에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에는 그 소득이 있는 기간 동안 연금지급이 정지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할 수 있는 나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조기노령연금 지급액
조기노령연금은 기존보다 빠른 나이에 연금지급을 시작하는 만큼 금액이 감액되는 패널티가 있습니다. 수령이 1년씩 빨라질 때마다 지급액이 6%p 감액됩니다.
노령연금 조기 신청년수 |
5년 | 4년 | 3년 | 2년 | 1년 |
지급률(%) | 70% | 76% | 82% | 88% | 94% |
예를 들어 기존에 월 100만원 수령예정이라면 5년 조기 수령 시 월 70만원, 4년은 76만원, 3년 82만원, 2년 88만원, 1년 94만원으로 감액되어 평생 지급받게 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국민연금 가입조건과 예상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가입조건과 예상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이란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급금여를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입니다. 국민연금 가입조건 - 국내에 거주
dreamlife.co.kr
조기노령연금 유리한가?
사실 조기노령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총액만 비교할 경우 정상 수령보다 불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65세에 정상 수령으로 100원을 지급받을 수 있는 사람이 5년 조기 수령을 신청할 경우 60세부터 매달 70만원씩 1년에 840만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연령 | 5년 조기수령 | 정상수령 |
60세 | 840만원 | - |
61세 | 1680만원 | - |
62세 | 2520만원 | - |
63세 | 3360만원 | - |
64세 | 4200만원 | - |
65세 | 5040만원 | 1200만원 |
66세 | 5880만원 | 2400만원 |
67세 | 6720만원 | 3600만원 |
68세 | 7560만원 | 4800만원 |
69세 | 8400만원 | 6000만원 |
70세 | 9240만원 | 7200만원 |
71세 | 10,080만원 | 8400만원 |
72세 | 10,920만원 | 9600만원 |
73세 | 11,760만원 | 10,800만원 |
74세 | 12,600만원 | 12,000만원 |
75세 | 13,440만원 | 13,200만원 |
76세 | 14,280만원 | 14,400만원 |
77세 | 15,120만원 | 15,600만원 |
78세 | 15,960만원 | 16,800만원 |
79세 | 16,800만원 | 18,000만원 |
80세 | 17,640만원 | 19,200만원 |
*국민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에 따라 인상되지만, 해당 표에는 반영하지 않지 않았습니다.
단순하게 계산했을 때 정상 수령이 5년 조기 수령보다 이득이 되는 시점은 16년이 지난 76세부터입니다. 요새는 100세 시대로 불릴 만큼 기대 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단순히 총액만 비교했을 때 정상수령을 받는 게 더 유리합니다.
하지만 저는 나중에 국민연금을 수령받을 수 있는 연령이 되면 조기수령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재정이 불안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조기수령으로 5년 간 받은 4200만원을 씨드머니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상 수령으로 4200만원을 받으려면 약 3.5년이 걸립니다. 그 시간동안 4200만원으로 새로운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4200만원을 3.5% 이자의 예금에 넣으면 매년 147만원, 3년 간 약 441만원의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는 경매 혹은 오피스텔 투자에 도전해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물론 국민연금 지급 시기는 본인의 상황에 맞춰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당장 생계에 필요한 돈이 필요할 경우, 조기수령으로 생활에 보탬을 하셔야 하고 꾸준한 소득이 있으실 경우 정상 수령을 선택하셔도 됩니다. 노령연금은 지급 연기도 가능합니다. 본인의 수령지급시기보다 연기해서 지급을 받기 시작하면 1년에 7.2%p씩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및 신청기간│총정리 (0) | 2023.02.16 |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총정리 (0) | 2023.02.14 |
난방비 지원 혜택, 차상위계층 확대 (0) | 2023.02.09 |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3.02.05 |
국민연금 가입조건과 예상 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02.04 |
댓글